윤충근 Choong-guen Yoon정보 Info


구텐베르크에서 디자인서울까지
From Gutenberg to DesignSeoul

로마자와 백인 남성을 중심으로 쓰인 디자인 역사로는 오늘 내가 사는 일상을 설명할 수 없다. 구텐베르크로 시작하는 활자의 역사에 한글은 없고, 미술공예운동으로 시작하는 모던 디자인의 역사에 디자인서울은 없다.

많은 대학에서는 이 사실을 외면하거나 어렴풋이 다룬다. 탈식민 담론을 수입하기도 버겁거니와 이를 한국의 맥락에서 소화할 겨를이 없기 때문이다. 디자인 대학은 ‘역사 없는 학문’이라는 불명예를 안은 채 매해 수만 명의 학생을 실무 디자이너로 꿋꿋이 길러내기 바쁘다.

이 토크는 10년 가까이 디자인 교육을 소비해오다가 최근 생산을 준비하면서 마주한 어려움에 관해 말한다. 서양 중심, 인물 중심, 실무 중심, 인쇄 중심의 타이포그래피 교육은 여전히 유효할까? 만약 그렇다면 왜일까? 그렇지 않다면 어떻게 다를 수 있을까?

«오픈 사월의눈»에서 발표
2023

The history of design centered on Roman script and whites can not explain my daily life today. There is no Hangeul(Korean alphabet) in the history of type starting with Gutenberg, and there is no DesignSeoul in the history of modern design starting with the art and craft movement.

Many universities in Korea turn a blind eye to this fact or deal with it vaguely.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import post-colonial discourse and there is no time to digest it in the context of Korea. Design universities in Korea are busy cultivating tens of thousands of students as working designers every year, disgraced as a ‘study without history.’

This talk is about the difficulties faced while preparing for production recently after spending nearly 10 years in design education. Is Western-centered, person-centered, practical-centered, and print-centered typography education still valid? If so, why? If not, how can it be different?

Presented in Open Aprilsnow
2023

talk
© 2024. Choong-geun Yoon. all rights reserved.